한의학연, 전침(電鍼)의 불면증 개선 효과 과학적 규명 국내 4개 한의과대학 한방병원 불면증 환자 150명 대상 임상시험 실시 불면증 심각도, 수면의 질 등 불면증 관련 지수 개선 확인 |
□ 한의학에서 불면증 치료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대표 치료법인 전침 치료*의 효과를 임상시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밝힌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 전침치료: 2개 이상의 혈자리에 자침 후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침자극과 함께 전기적 자극을 주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한의학연)은 임상의학부 이준환 박사 연구팀이 국내 4개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과 진행한 다기관 임상연구에서 불면증에 대한 전침 치료 효과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 불면증은 가장 흔한 수면장애로 집중력 저하, 두통 등 기능장애는 물론 우울, 불안 등 정신적 문제에 영향을 미쳐 생활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며,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이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불면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연간 60만 명(19년 기준)이 넘고 매년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이번 연구에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5판(DSM-5)’의 불면장애 기준을 만족하고 3개월 이상 불면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은 환자 150명이 참가했다.
□ 참가자는 전침 치료군, 가짜 전침 치료군 그리고 일상 관리군으로 나뉘어 실험을 진행했다.
? 전침 치료군은 백회, 인당, 신문, 내관 등 불면증 치료와 관련있는 10개 혈자리에 4주간 총 10회의 치료를, 대조군은 동일한 개수의 비혈자리 부위에 가짜 전침자극을 주었으며 일상 관리군은 침 치료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며 변화를 살펴봤다.
□ 각 집단은 연구시작 시점, 치료 2주 후, 치료 종료 시점에 불면증 정도에 대한 평가를 시행했으며, 치료 종료 4주 및 8주 후 추적 관찰을 통해 효과의 지속성 및 안전성에 대한 근거도 구축했다.
? 평가에서는 불면증 정도를 판단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불면증 심각도(이하 ISI, Insomnia Severity Index), △수면의 질, △불안·우울 척도 등의 지수를 측정했다.
□ 평가 결과 전침 치료군의 ISI 점수*가 치료 전 19.02점에서 치료 종료 후 10.13점까지 개선됐다.
※ ISI지수는 0~7점의 범위를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단계(정상)로 보고, 점수가 높아질수록 불면증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8~14점: 가벼운 임상적 불면(역치하 단계), 15~21점: 중등도 임상적 불면, 22~28점(심한 임상적 불면)
? 특히 치료 종료 4주 및 8주 후 추적 관찰 시 점수가 각각 8.60점과 8.02점으로 개선 효과가 지속됐으며, 이는 각 점수가 11.28점과 10.38점인 가짜 전침군의 결과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나타냈다.
□ 또한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 총 수면시간에서도 호전을 보였으며, 특히 수면효율의 경우 전침 치료군의 개선정도(8.2%p)가 가짜 전침군(4.3%p)에 비해 약 1.9배 가량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나아가, 불안(HADS-A)과 우울(HADS-D) 척도 역시 개선됐으며 치료 종료 시점 뿐 아니라 치료 종료 두 달 후까지 개선 효과가 지속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논문 교신저자인 상지대 김주희 교수는 “본 다기관 임상연구는 한방 병·의원에서 불면증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전침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확인한 결과”라며 “향후 불면증 치료 및 연구에 활용 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한의학연구원 주요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 또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Nature and Science of Sleep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