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한의진료 전화상담센터’운영결과 논문 발표 한의학연, 한의사협회와 코로나-19 전화상담센터 차트 분석 감염병 대응 한의약 치료 가능성 확인 |
□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한의학연)은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일조하기 위해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사협회)가 운영한 전화상담 센터의 진료 차트를 분석한 관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해당 연구결과는 지난 1월 국제학술지인 JMIR Public Health and Surveillance 저널에 게재됐다.
□ 이번 연구에서는 지난해 3월부터 6월까지 ‘코로나-19 한의진료 전화상담센터’를 통해 한약을 처방 받은 2,324명의 진료차트를 분석했다.
□ 분석 결과, 이용자의 86.45%(2,009명)는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로 피로, 불안, 마른기침, 가래 등의 후유증 개선을 목적으로 전화 상담을 요청했다.
? 그 뒤를 이어 코로나-19 경증 확진자(211명, 9.1%), 확진자 접촉 후 격리중인 의심환자(45명, 1.9%) 순으로 전화상담센터를 이용했다.
□ 상담을 받은 환자들은 증상에 따라 처방받은 한약을 비대면 방식으로 약을 받았으며, 가장 많이 처방된 한약은 경옥고(15.9%)였다.
? 이 외에도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에 사용하는 청폐배독탕*(淸肺排毒)과 짧은 호흡, 마른기침 등에 사용하는 자음보폐탕(滋陰補肺湯) 또 짧은호흡, 소화기 장애 등 개선을 위한 익기보폐탕(益氣補肺湯) 처방이 그 뒤를 이었다.
※청폐배독탕: 코로나-19 유행 초기, 중국정부가 발표한 중의약 통용방으로, 현재 연구·개발 현장에서 주목 받으며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 연구팀은 전화상담 전후의 증상 개선 사항에 대한 확인도 진행했다.
? 확인 결과, 마른기침 호소비율은 상담 전 36.0%(2,094명 중 759명)에서 상담 후 24.9%(1,283명 중 320명)으로 감소했으며,
? 피로 호소비율은 상담 전 39.4%(2,018명 중 795명)에서 상담 후 29.2%(1,215명 중 355명)으로,
? 식욕부진 호소자는 상담 전 29.6%(2,000명 중 593명)에서 상담 후 15.2%(1,190명 중 181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치료 만족도의 경우 10점 만점에 8.3점을, 편리성에서 9.3점을 기록하며 환자 만족도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했다.
□ 임상의학부 이준환 부장은 “이번 논문은 감염질환 치료에 대한 한의약의 기여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라며 “향후 감염병과 그 후유증 치료를 위한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 임상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 한편 해당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의학연 주요사업의 일환으로 대한한의사협회와 공동으로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