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IOM뉴스

보도자료 [보도자료] 한의학연, 첩약 이상반응 표준 보고 양식 개발
  • 작성자디지털홍보팀
  • 등록일2025-03-28
  • 조회수180


한약 안전성 모니터링 강화: 첩약 이상반응 표준 보고양식 개발

- 한의학연, 첩약 이상반응 체계적 수집 및 평가 기반 마련 -

- 국내외 전통의학 안전성 연구에 기여 기대 -


 


< 보도자료 요약 >

한의학연, 첩약 안전성 모니터링 체계 마련을 위한 이상반응 표준 보고양식 개발

보고양식은 향후 첩약 이상반응 모니터링 센터를 통해 이상반응 수집보고 체계에 활용 예정

첩약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통해 약물과 이상반응 간의 인과 데이터 구축에 기여 예상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 이하 한의학연) 손미주 박사 연구팀이 첩약* 이상반응 표준 보고양식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향후 이상반응을 수집하고 보고하는 첩약 안전성 모니터링 체계에 활용될 예정이다.

첩약: 환자의 증상, 체질에 따라 한약재를 가감하여 조제하는 한약 제형의 일종

본 연구 성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통합의학연구, 1저자 조은별, 교신저자 손미주, IF:2.8; JCR 상위 26.7%)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약물역학 및 의약품 안전성, 1저자 조은별, 교신저자 김성하, IF:2.6; JCR상위 40.3%) 20241228, 2025222일 각각 게재됐다.

논문명

Common Adverse Events of Herbal Formulas for Developing Reporting Forms for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Development of an Adverse Event Reporting Form for Herbal Medicine: A Delphi Expert Consensus Study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정부는 한의약 분야 국민의 의료선택권 확대와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202011월부터 첩약 건강보험 시범사업을 시작 했다. 이에 따라 첩약 안전성 모니터링에 대한 요구도 증가했다.

그러나, 국내 약물감시 시스템은 주로 품목 허가된 한약제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첩약(탕약)에 대한 이상반응 보고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상반응의 체계적 보고체계 마련이 요구됐고, 이에 첩약을 복용하는 환자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 보고양식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첩약은 복합적인 약재 조합과 개별화된 용량 조정이 특징으로 일반 의약품과는 다른 방식의 이상반응 보고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약 처방과 관련된 이상반응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표준화된 보고양식을 개발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개요 연구(overview of systematic review) 방법론을 활용하여 67건의 보고항목과 216건의 이상반응 항목을 추출했다.

이후 델파이 기법을 통해 최종 58건의 이상반응 보고 항목과 46건의 이상반응 항목을 도출했다.

첩약에 특화된 이상반응 보고양식 개발을 통해 한약 복용 후 발생하는 이상반응 데이터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인과관계를 평가하며 한약과 양약 등 다른 치료법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를 통해 첩약 안전성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된 표준 보고양식은 향후 첩약 이상반응 모니터링 센터를 통해 이상반응을 수집하고, 보고하는 체계에 활용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첩약 이상반응 표준 보고양식은 COMET Initiative*에 등록되어 국제적으로 활용 가능해졌다라며 앞으로 전통의학 분야의 이상반응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전했다.

COMET Initiative는 임상연구에서 필수적으로 측정해야 할 핵심 결과를 개발하고, 표준화하는 국제 연구협력 프로젝트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한의디지털융합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첨부파일
  • [보도자료]_한의학연,_첩약_이상반응_표준_보고_양식_개발.hwp (181.5KB/ 다운로드 33 회) 다운로드
  • AI_생성이미지_한의학연_제공.png (2.36MB/ 다운로드 24 회) 다운로드

콘텐츠 하단정보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자김백선(042-869-9656) kbskiom@kiom.re.kr

최근 수정일 2023-01-17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