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
남북 전통의학 용어의 비교고찰 연구 |
2015 |
發掘 醫案 고려대학교 소장 經驗方에 대하여 |
2015 |
農巖 金昌協의 亡兒初朞祭文 硏究 |
2015 |
산림경제 구급의 특성과 의사학적 의의 |
2015 |
五洲衍文長箋散稿 소재 의학정보에 대한 연구 |
2014 |
연암 저작 추정서 익감에 관하여 |
2013 |
인제지의 조선후기 의사학적 위상과 의의 |
2013 |
조선 중기 儒醫 李碩幹의 가계와 의약사적 연구 - 새로 발견된 大藥賦를 중심으로 - |
2013 |
마취 전문서 麻藥考의 처방과 그 원류에 대한 연구 |
2013 |
개의 질병에 사용된 동아시아 전통의학 처방 연구 |
2012 |
한의학 관련 자료 번역의 문제와 전망 |
2012 |
전통사회에서 외래종 작물인 고추의 효능 인식 -한국 전통의서를 중심으로- |
2012 |
朝鮮後期 醫家 曺澤乘 曺秉侯 父子 연구 |
2012 |
朝鮮後期 傷寒 硏究의 一面 - 朝鮮後期 傷寒 硏究書 傷寒經驗方要撮의 구성과 내용 - |
2012 |
경험의안 우잠잡저의 간울 치험례 |
2012 |
침구극비초 연구 |
2012 |
熱河日記 所載 金蓼小抄 飜譯에 관한 一硏究 |
2011 |
한의학에서 신경정신과 질환의 증례논문 동향분석 |
2011 |
아사미문고 언해본 ��廣濟秘笈鄕藥五十種治法�� 발굴과 그 의의 |
2011 |
愚岑雜著 所在 狂證 二案에 關한 硏究 |
2011 |
왕실기록과 의서 속에 나타난 유이태의 행적 |
2011 |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본초강목(本草綱目)"의 한국적 전유(專有)와 조선후기 의학 특징의 형성 -"본초유함(本草類函)"과 "본초유함요령(本草類函要領)"을 중심으로- |
2011 |
한의학의 치매관련 임상연구 동향분석과 제안 |
2011 |
세계 전통의학과 CAM 엑스포 현황과 분석 - 2013 세계전통의학엑스포의 기획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
2011 |
증실기 연구 |
2011 |
조선(朝鮮) 후기(後期) 한의학(韓醫學) 외연확대(外延擴大)의 일국면(一局面) |
2011 |
우잠 장태경 생애 연구 |
2010 |
두통과 현훈 치료관련 침구문헌 비교연구 |
2010 |
『軍中醫藥』 飜譯 硏究 |
2010 |
버클리대 아사미문고본 治腫方에 대하여 |
2010 |
石谷 李奎晙의 ��浦上奇聞��과 石谷의 對西洋 認識 |
2010 |
『醫鑑重磨』의 판본 및 구성에 대한 연구 |
2010 |
『四醫經驗方』 중 許任 經驗方의 추출과 外治法 분석 |
2010 |
19세기 의방서 宜彙의 구성과 내용 |
2010 |
브라질 전통의약 식물자원의 한의학적 활용가능성 연구 |
2010 |
口舌脣齒질환에 대한 한국 침구서적의 치료법 비교 연구 |
2009 |
의안을 통한 신종 인플루엔자의 한의학적 대처방안 |
2009 |
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발표된 동의보감 연구 현황 조사 |
2009 |
지리지를 활용한 한의학 정보의 발굴 |
2009 |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의 "석공산고(石谷散稿)"번역 연구(I) |
2009 |
산후부종의 호박과 남과의 오용에 대한 문헌고찰 |
2009 |
한의 방제명의 영역 표준화에 대한 연구 |
2009 |
석곡 이규준의 석곡산고 번역 연구(2) |
2009 |
東谿 趙龜命의 育體的 疾苦와 現實 超克 |
2009 |
임언국(任彦國)의 "치종방(治瘇方)" 번역 연구 |
2009 |
이규준의 생애와 사상적 경향 |
2009 |
국내침구서적의 중풍치료에 관한 문헌연구 |
2009 |
국내침구서적의 안질환(眼疾患)치료에 관한 문헌 연구 - "치종지남(治腫指南)" "동의보감(東醫寶鑑)"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교감(校勘) 사암도인침법(舍岩道人鍼法)"의 비교연구 - |
2009 |
한의학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축제 현황 분석 |
2008 |
치종비방 연구;'유방(遺方)'의 성격과 의사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
2008 |
콩잎에 관한 문헌적 고찰 |
2008 |
Benjamin Hobson의 생애 연구 |
2008 |
『治腫指南』의 여러판본을 통해 살펴본 傳存 경위 연구 |
2008 |
황자후(黃子厚)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비판(批判)과 그 함의(含意) - 선초(鮮初)의 향약(鄕藥) 개발(開發) 및 대민의료정책(對民醫療政策)과 관련하여 - |
2008 |
오주 이규경의 생애연구 |
2008 |
제천 한약재의 역사에 기반한 한방산업 전략 |
2008 |
한의약 문화산업의 성격분류와 현황분석 - 2013 동의보감 엑스포 성공적 추진방향 모색 - |
2008 |
근대 신설 약령시 연구;제천약령시의 발생과 성장을 중심으로 |
2007 |
오주(五洲) 이규경(李圭景)의 공부법과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의 성립 |
2007 |
18세기 조선통신사 의관(醫官)과 유의(儒醫)의 역할 - 의학문답(醫學問答)을 중심으로 - |
2007 |
담배 박물지(博物誌) "언록"을 통해 본 담배의 의학문화적 특징 |
2007 |
옛 문헌에 나타난 담배의 효능 및 담배 폐해의 대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