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일상용 설진기의 컬러 환경 기반 최적화 구현 방법 |
2024 |
Circadian Rhythms in Tongue Features |
2024 |
Expanded Observation of Optical Flow-based Tongue Movements Over Time |
2023 |
재택 건강관리를 위한 혀 측정장치 구현 |
2023 |
Tongue indices with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for application in diagnostic systems without face-to-face visits |
2022 |
Modern concepts and biomarkers of blood stasis in cardio-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from the perspectives of Eastern and Western medicine: a scoping review protocol |
2022 |
열화상 영상에서의 복부 냉감 특징에 관한 연구 |
2022 |
기능성 소화불량 질환 진단을 위한 복부 색상 변수 도출 연구 |
2021 |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s a risk factor for peptic ulcer disease |
2021 |
Development of a patient-report pressure algometer for the quantification of abdominal examination |
2020 |
Mediation Effect of th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on the Decrease in Bioimpedance Phase Angles in ethnically Korean People – a Multicenter Clinical Study |
2018 |
혀 표면 촬영을 통한 건강분석 장치 개발 방향 제안 |
2018 |
Association of Cold-Heat Patterns with Tongue Features, Body Composition, Anthropometric Indices, and Blood Parameters in Tae-Eum Type |
2018 |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설 지표의 경향성 파악 |
2018 |
Association of gastric and duodenal ulcers with anthropometry and nutrien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V) 2001-2009 |
2017 |
한의학 기반 복부 진단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
2017 |
Differences in the Tongue Features of Primary Dysmenorrhea Patients and Controls over a Normal Menstrual Cycle |
2017 |
모바일 설진기 개발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
2017 |
Different trends of teeth marks according to qi blood yin yang deficiency pattern in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
2017 |
Selecting diagnostic parameters of functional dyspepsia based on pattern identification: Step 1—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ensus process |
2017 |
Effects of Bu-Zhong-Yi-Qi-Tang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a feasibility study protocol |
2017 |
Association of peptic ulcer disease with obesity, nutritional components, and blood parameters in the Korean population |
2016 |
Validation of the qi blood yin yang deficiency questionnaire on chronic fatigue |
2016 |
감기 환자와 건강대조군 간의 설 특성 비교연구: 탐색적 관찰연구 |
2016 |
설진 기반 모바일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 |
2016 |
복진(腹診)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향 제안 |
2015 |
만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설 색상과 심박변이도의 경향성 파악 |
2015 |
脾氣虛證 진단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평가: 만성 소화불량 환자 대상 설문지 검증 임상시험 |
2015 |
Protocol for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Qi Blood Yin Yang deficiency pattern questionnaire: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2014 |
Constitution-specific features of perspiration and skin visco-elasticity in SCM |
2014 |
한의학 개인 건강 데이터 수집 기술 동향 |
2014 |
한방의료기기 개발 수요에 대한 조사연구 |
2014 |
Color Distribution Differences in the Tongue in Sleep Disorder |
2014 |
설 영상 획득을 위한 간접 조명 구현 및 평가 |
2014 |
한의학 진단 분야의 미래 예측 실현과제에 대한 정량적 평가 |
2014 |
Improving color and shape repeatability of tongue images for diagnosis by using feedback gridlines |
2014 |
기혈음양허손 변증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기초연구 |
2014 |
한방 의료기관의 의료기기 보유현황 및 한방의료기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 연구 |
2013 |
허로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향 제안 |
2013 |
대변장애를 주증으로 하는 고령자의 혀 색상 히스토그램 특성 연구 |
2013 |
Prediction of body mass index status from voice signals based on machine learning for automated medical applications |
2013 |
설진 시스템 특허동향 분석 |
2013 |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한국인 단모음 포먼트 비교에 관한 연구 -한방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
2013 |
A practical approach to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using vocal features |
2013 |
The Concept of Sasang Health Index and Constitution-Based Health Assessment: An Integrative Model with Computerized Four Diagnosis Methods |
2013 |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의 한의학적 적용을 위한 연구동향 |
2012 |
A New Method of Diagnosing Constitutional Types Based on Vocal and Facial Features for Personalized Medicine |
2012 |
목소리 특성의 청취 평가에 기초한 사상체질과 음성 특징의 상관관계 분석 |
2012 |
체질에 따른 고령자 여성의 피부 탄성 및 발한 특성 연구 |
2012 |
통합 체질진단 시스템 개발 및 반복성 평가 |
2012 |
고령자 여성의 체질건강수준에 따른 피부 탄성 및 주름 특성 연구 |
2012 |
감정 인식을 위한 음성 특징 도출 |
2012 |
고연령 한국 남성의 사상 체질별 건강 수준에 따른 안색의 정량적 분석 |
2012 |
Review on the current trends in tongue diagnosis systems |
2012 |
고령자 여성의 체질건강수준에 따른 맥파 특성 연구 |
2011 |
사상체질과 음성특징과의 상관관계 연구 |
2011 |
Novel diagnostic algorithm for the floating and sunken pulse qualities and its clinical test |
2011 |
음성 특성 및 음성 독립 변수의 사상체질 분류로의 적용 방법 |
2011 |
자가 안면영상 촬영장치 개발 및 검증 |
2011 |
설진 유효 분석을 위한 혀의 기하정보 추출 방법 |
2011 |
Study of a Vocal Feature Selection Method and Vocal Properties for Discriminating Four Constitution Types |
2011 |
음성의 안정적 변수 추출을 위한 SOP 개발 연구 |
2011 |
음성의 안정적 변수 추출 및 변수의 의미 연구 |
2011 |
전문가 진단을 통한 체질별 건강수준과 설문결과의 연관성 연구 |
2010 |
CDSS를 이용한 한방 U-Healthcare 서비스 모델 구현 |
2010 |
피부탄성 측정 문제점 개선을 위한 6시그마 프로젝트 |
2010 |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의 얼굴 윤곽선 영역 검출을 위한 분할 영역 히스토그램 분석 |
2010 |
손등피부 운동 마찰계수 측정기를 이용한 체질 판별 가능성 연구 |
2010 |
얼굴 표정 시각자극에 따른 사상 체질별 유발뇌파 예비연구 |
2010 |
東醫壽世保元經驗方에 근거한 사상체질별 舌診의 문헌연구 |
2010 |
설진의 과거와 미래 전망 |
2010 |
새로운 맥상 파라메터를 이용한 허실맥 판단 방법 |
2009 |
맥진을 이용한 사상체질 판별 방법의 개선 및 의의 |
2009 |
맥진기를 이용한 새로운 부침맥 진단 방법 제안 |
2009 |
판정불능을 포함한 안면 체질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
2009 |
영상 피드백을 이용한 단일 영상에서의 적응적 피부색 검출 |
2009 |
Feature selection from a facial image for distinction of Sasang constitution |
2009 |
디지털 자동 설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태 인식 알고리즘 기초 연구 |
2008 |
설진 유효 영역 추출의 시스템적 접근 방법 |
2008 |
설진 시스템 개발 및 재현성 평가 |
2008 |
설진 기기의 시스템 구성 및 진단 방법 개발 |
2007 |
그래프 및 기하 정보를 이용한 설진 영역 추출 |
2007 |
백태 중 후태 및 박태 분류 판별함수 설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