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
남북 전통의학 협력 사업 우선순위 선정 연구 |
2022 |
Twenty years of traditional and complementary medicine regulation and its impact in Malaysia: Achievements and policy lessons |
2014 |
한의 임상 지식 및 중재법 활용현황 조사 |
2014 |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uncture for poor semen quality in infertile mal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2013 |
마취 전문서 麻藥考의 처방과 그 원류에 대한 연구 |
2013 |
한의사들에게 적합한 고문헌 지식체계에 대한 고찰-『東醫寶鑑』증보를 중심으로- |
2013 |
한의학 분야 번역의 현황과 과제 |
2013 |
사상 방제명의 영역 표준화에 대한 연구 |
2013 |
국내 봉독 관련 연구에 대한 고찰 |
2013 |
본초 상호작용 관계망 분석 및 활용 방향 |
2013 |
웰빙 관련 의약학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과 측정도구 분석 |
2012 |
한의학 고전 문헌 데이터베이스에서 활용할 건망 유의어 연구 |
2012 |
언해의서 비교고찰을 통한 한의학용어의 번역표준안 |
2012 |
한의 신의료기술 행위 동향 분석 |
2012 |
熱河日記 所載 金蓼小抄 飜譯에 관한 一硏究 |
2012 |
한의사의 신의료기술 인식 실태 조사 |
2012 |
전통사회에서 외래종 작물인 고추의 효능 인식 -한국 전통의서를 중심으로- |
2012 |
고시된 신의료기술중 한의학 분야 동향 분석 |
2012 |
朝鮮後期 傷寒 硏究의 一面 - 朝鮮後期 傷寒 硏究書 傷寒經驗方要撮의 구성과 내용 - |
2012 |
한의학 분야에서의 양생 연구 동향분석 |
2012 |
경험의안 우잠잡저의 간울 치험례 |
2011 |
객체지향형 처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처방 검색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
2011 |
조선(朝鮮) 후기(後期) 한의학(韓醫學) 외연확대(外延擴大)의 일국면(一局面) |
2011 |
증실기 연구 |
2011 |
우잠 장태경 생애 연구 |
2011 |
愚岑雜著 所在 狂證 二案에 關한 硏究 |
2011 |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본초강목(本草綱目)"의 한국적 전유(專有)와 조선후기 의학 특징의 형성 -"본초유함(本草類函)"과 "본초유함요령(本草類函要領)"을 중심으로- |
2011 |
아사미문고 언해본 ��廣濟秘笈鄕藥五十種治法�� 발굴과 그 의의 |
2011 |
세계 전통의학과 CAM 엑스포 현황과 분석 - 2013 세계전통의학엑스포의 기획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
2010 |
『醫鑑重磨』의 판본 및 구성에 대한 연구 |
2010 |
『軍中醫藥』 飜譯 硏究 |
2010 |
韓醫 書籍의 海外 流轉과 刊行의 意義 |
2010 |
石谷 李奎晙의 ��浦上奇聞��과 石谷의 對西洋 認識 |
2010 |
『四醫經驗方』 중 許任 經驗方의 추출과 外治法 분석 |
2010 |
口舌脣齒질환에 대한 한국 침구서적의 치료법 비교 연구 |
2010 |
브라질 전통의약 식물자원의 한의학적 활용가능성 연구 |
2010 |
버클리대 아사미문고본 治腫方에 대하여 |
2010 |
두통과 현훈 치료관련 침구문헌 비교연구 |
2009 |
국내침구서적의 중풍치료에 관한 문헌연구 |
2009 |
국내침구서적의 안질환(眼疾患)치료에 관한 문헌 연구 - "치종지남(治腫指南)" "동의보감(東醫寶鑑)"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교감(校勘) 사암도인침법(舍岩道人鍼法)"의 비교연구 - |
2009 |
의안을 통한 신종 인플루엔자의 한의학적 대처방안 |
2009 |
국내 한의학 학술지에 발표된 동의보감 연구 현황 조사 |
2009 |
석곡(石谷) 이규준(李圭晙)의 "석공산고(石谷散稿)"번역 연구(I) |
2009 |
이규준의 생애와 사상적 경향 |
2009 |
산후부종의 호박과 남과의 오용에 대한 문헌고찰 |
2009 |
한의 방제명의 영역 표준화에 대한 연구 |
2009 |
석곡 이규준의 석곡산고 번역 연구(2) |
2009 |
한의학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축제 현황 분석 |
2009 |
임언국(任彦國)의 "치종방(治瘇方)" 번역 연구 |
2009 |
최한기의 『신기천험』을 읽은 또 하나의 독법 |
2008 |
한국고대사회 승의(僧醫)와 의승(醫僧)의 개념에 대하여 |
2008 |
서구의 비지배적 의학이 한의학의 전략 선택에 주는 시사점 |
2008 |
제천 한약재의 역사에 기반한 한방산업 전략 |
2008 |
한의약 문화산업의 성격분류와 현황분석 - 2013 동의보감 엑스포 성공적 추진방향 모색 - |
2008 |
세종대(世宗代)의 의관(醫官) 노중례(盧重禮)의 삶과 의사학(醫史學)에의 공헌(公憲) - 향약(鄕藥) 및 산부인과(産婦人科) 의학(醫學)의 발전(發展)과 관련하여 - |
2008 |
근(近).현대(現代)(1860년대(年代)-1945년(年)) 연변(延邊)의 의료위생환경(醫療衛生環境)과 '조의학(朝醫學)' |
2008 |
근대 신설 약령시 연구;제천약령시의 발생과 성장을 중심으로 |
2008 |
최종준(崔宗峻)의 년표(年表) 작성(作成)을 위한 역사적 고찰 - "어의촬요방(御醫撮要方)"의 복원을 위한 선행과제 |
2008 |
치종비방 연구;'유방(遺方)'의 성격과 의사학적 가치를 중심으로 |
2008 |
Benjamin Hobson의 생애 연구 |
2008 |
惠岡崔漢綺의 『身機踐驗』 번역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책 |
2007 |
Professional Project and the Evolution of Non-Dominant Medicines;The Case of Osteopathy and Chiropractic |
2004 |
이규준(李圭晙)의 심기철학(心氣哲學)과 부양론(扶陽論)의 연관성 연구 -"석곡심서(石谷心書)"와 부양론(扶陽論)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