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
한의약 표준화 발전방안 연구: 한-중 전통의학 표준화 정책비교를 바탕으로 |
2012 |
淸代 祁州藥市에서 활동한 商人의 類型 分析 |
2012 |
소수자로서 중국 조선족의 이주사 및 정치·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정체성 변동 |
2012 |
일본의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 공유(ABS)’에 관한 최근 동향 -「나고야의정서」의 채택과 관련하여 - |
2012 |
중국의 약물자원 및 전통의약 지식재산권 보호 동향 분석-「나고야의정서」채택과 관련하여- |
2011 |
淸代 ‘懷慶藥商’의 商業 活動과 네트워크 形成 ― ‘協盛全’과 ‘杜盛興'을 中心으로 ― |
2011 |
現代 中國의 傳統醫藥 無形文化遺産 現況 및 保護措置에 관한 硏究 |
2011 |
明·淸代 ‘錢塘醫派’의 敎·硏·醫 |
2010 |
中醫學의 ‘UNESCO 세계무형유산’ 登載 試圖와 그 意味 |
2010 |
中醫書院 ‘侶山堂’ 講學과 ‘錢塘醫派’ |
2009 |
明·淸時代의 新安(徽州)醫學-儒·商·醫 三位一體의 文化構造 |
2009 |
明·淸時代 新安醫學의 國際的 交流에 관한 一考察 |
2009 |
명(明).청대(淸代) 기주약시(祁州藥市)의 성장(成長)과 '약왕묘(藥王廟)' |
2009 |
明․淸代 樟樹藥帮의 形成과 그 特徵 |
2008 |
朝鮮前期의 '專門醫女'에 관한 연구 -成宗代의 醫女 長德과 貴今을 중심으로- |
2008 |
최종준(崔宗峻)의 년표(年表) 작성(作成)을 위한 역사적 고찰 - "어의촬요방(御醫撮要方)"의 복원을 위한 선행과제 |
2008 |
식치의 개념 정립 및 적용 이론의 이해 |
2008 |
세종대(世宗代)의 의관(醫官) 노중례(盧重禮)의 삶과 의사학(醫史學)에의 공헌(公憲) - 향약(鄕藥) 및 산부인과(産婦人科) 의학(醫學)의 발전(發展)과 관련하여 - |
2008 |
황자후(黃子厚)의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비판(批判)과 그 함의(含意) - 선초(鮮初)의 향약(鄕藥) 개발(開發) 및 대민의료정책(對民醫療政策)과 관련하여 - |
2008 |
명중기 민간의약업의 성장과 기유위의 |
2008 |
현대(現代) 중국(中國)의 문화전략(文化戰略)과 '전통의학(傳統醫學)'의 세계문화유산(世界文化遺産) 등재(登載) 움직임에 관한 고찰(考察) |
2008 |
한의약 문화산업의 성격분류와 현황분석 - 2013 동의보감 엑스포 성공적 추진방향 모색 - |
2008 |
한국고대사회 승의(僧醫)와 의승(醫僧)의 개념에 대하여 |
2008 |
근(近).현대(現代)(1860년대(年代)-1945년(年)) 연변(延邊)의 의료위생환경(醫療衛生環境)과 '조의학(朝醫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