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한의학 처방 분석 애플리케이션 개발: EveryFormula |
2023 |
기계 학습을 이용한 한의학 처방 분석 방안 |
2022 |
기계 학습을 이용한 한의학 용어 유의어 사전 구축 방안 |
2021 |
조선 후기 의학의 표면과 이면 |
2021 |
한의학 고문헌 텍스트에서의 인용문 추정과 탐색 |
2021 |
북한 고려의학 학술저널에 대한 저자 및 네트워크 분석 |
2020 |
한의학 고문헌 텍스트에서의 저자 판별 |
2019 |
한의학 고문헌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단어 임베딩 기법 비교 |
2019 |
한의학 고문헌 텍스트 분석을 위한 비지도학습 기반 단어 추출 방법 비교 |
2018 |
판본별 교감을 통한 동의보감의 정본화 |
2018 |
의학 사상의 유사성은 계량 분석 될 수 있는가 |
2017 |
17-18세기 조선의 鍼, 그 종류와 형태 |
2016 |
고의서에 나타난 경혈과 병증의 연관성 측정 및 시각화- 침구자생경 분석 예를 중심으로 - |
2015 |
HF-IFF: TF-IDF를 응용한 병증-본초 연관성(relevancy) 측정과 본초 특성의 시각화-청강의감 방제를 대상으로- |
2015 |
조선중기 침자수법 계족침법에 대한 문헌 고찰 |
2015 |
동의보감 전산화 성과와 한의학 고문헌 전산화의 과제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내손안에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 |
2014 |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한 침구자생경(鍼灸資生經) 경혈 선택 요인 분석 |
2014 |
청강의감의 구성과 내용 |
2014 |
한의학 용어 개념의 정량화 연구- 방약합편의 병증 용어를 대상으로 - |
2014 |
軍陣醫書 ��行軍方便便方��의 구성과 내용 |
2013 |
16세기 조선 의서 이석간경험방에 나타난 전통지식 분석 |
2013 |
개의 질병에 사용된 동아시아 전통의학 처방 연구 |
2013 |
19-20세기 조선 의가들의 본초강목 재구성하기 |
2013 |
조선후기 세시풍속과 의학 - 醫方合編 月行을 중심으로 - |
2013 |
마취 전문서 麻藥考의 처방과 그 원류에 대한 연구 |
2013 |
조선 중기 儒醫 李碩幹의 가계와 의약사적 연구 - 새로 발견된 大藥賦를 중심으로 - |
2013 |
한의학 분야 번역의 현황과 과제 |
2012 |
질병치료와 공공의료에 활용된 조선시대 목욕요법 연구 |
2012 |
朝鮮後期 醫家 曺澤乘 曺秉侯 父子 연구 |
2012 |
침구극비초 연구 |
2012 |
언해의서 비교고찰을 통한 한의학용어의 번역표준안 |